본 페이지는 자바스크립트 1.2 를 지원하는 브라우저가 필요합니다.
회원가입 아이디/비밀번호 찾기 Contact Us 확대 축소
토목시공기술사 메인홈
HOME > 신경수아카데미 >   공지사항
로그인
제136회 기술사
 
 
 
 
 
 
※ 학원 상담시간
-평일 : 10시 ~ 17시
-주말 : 8시 ~ 17시



CODE

4464

작성자
운영자
등록일

2021-12-05

조회수

2256

다운수

0

제목

[토시] 신규 수강생 개강 특전(동영상 1년+교재지원)

첨부파일
 
내용
안녕하세요 ? 서울기술사학원입니다.

 
1. 학원 등록시 무료지원
 

  - 토목시공기술사 회원제 등록 시 온라인 실강 동영상 1년 및 기본교재를 무료지원합니다.

  - 기술사 공부를 시작하시는 분들의 두 가지 고민은 공부의 시작 시기와 학원의 등록 시점입니다.
  - 많은 합격 수기에도 나와있듯이 현재 여건이 공부할 최적기가 돼서 공부하시는 분들은 거의 없습니다.
  - 합격자 수기를 통해 앞서간 합격자의 시행착오를 이해하고, 이를 반복해서는 안 됩니다.
  - 기술사 시험 준비는 언제부터 해야 하는 문제가 아니고 '할 거냐' , '말 거냐'의 선택입니다.  
 
2.  기술사 공부의 시작 시기
  

  - 아는 것보다 쓰는 것이 더 중요한 기술사 시험의 합격을 위해서는 출제자의 의도파악 능력과 
    채점자가 선호하는 답안작성 능력, 시험장에서의 시간 및 실수관리 능력만 있으면 됩니다. 
  - 그래서 기술사 공부의 시작 시기는 빠르면 빠를수록 좋습니다.
  - 그만큼 시험에 응시할 기회가 많이 주어지기 때문에 남들보다 합격할 확률이 높을 수밖에 없습니다.
  - 기술사 시험은 절대적인 상대평가라는 사실을 꼭 기억하시길 바랍니다.
 
3. 학원의 등록 시점
  

  - 기술사 공부는 단락된 공부를 해서는 안 됩니다.
  - 건설과 관련된 재료, 역학, 공종들이 함께 어우러져 가는 공부를 해야 채점자들이 
    원하는 답안을 작성할 수가 있습니다. 
  - 공부시작을 할 때 대다수 분은 강의 1주차 인가에 대해 궁금해하는데, 이런 생각은 의미가 없습니다.
  - 가장 좋은 시작시점은 내가 가장 자신있는 공종(chapter)이 강의계획에 잡혔을때 시작하는 것입니다.
  -  토목시공을 예로들면 "교량/터널"현장에 있는 사람들은 "포장/교량/터널"을 강의하는 시점에, 
  

     "댐/하천/항만" 현장에 있는  사람들은 "댐/하천/항만"강의가 있는 시점에서 시작하는 것이   

     가장 스트레스를 적게 받으면서 공부를 시작하는 방법입니다. 
 
 4. 서울기술사학원의 강의 시스템
  - 서울기술사학원의 모든 강의는 실시간 동영상으로 업데이트됩니다.​
  - 강의 중간에 들어오셔도 동영상을 통해 원하는 공종을 학습할수 있습니다. 
  


 5. 합격에 필요한 것은 무엇보다도 문제 풀이력이라는 사실을 꼭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답안의 유연성과 문제풀이력은 서울기술사학원의 차별화된 답안클리닉 밴드와 

    일요일 실전 Test반 및 기출/포캠반을 통해 키울수 있습니다.

    서울기술사학원과 함께 하시면 기술사의 꿈을 이룰수 있습니다. 

 

 

 
제목 작성자 작성일 Hit
이전 [토시] 12월 단계별 동영상 50% 할인-과년도 기출문제 해설 운영자 2021-12-05 2773
다음 [공통] 실강의 동영상 업로드 안내(12/05) 운영자 2021-12-05 1108
 

덧글을 달아주세요..^^

작성자 내용 비밀번호 입력
 
 
작성자 내용 등록일 삭제
등록된 덧글이 없습니다.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중림로 34 새마을금고 3층(지번주소:서울시 중구 중림동 202번지) , TEL: 02-774-7480 , FAX: 02-774-7487
E-mail: 21seoulpe@naver.com , 사업자등록번호: 587-81-01863 , 상호명: (주)서울기술사학원
Copyright(c) SINCE 2002 (주)서울기술사학원 All rights reserved   계좌번호: 우리은행(1005-604-001029) 주식회사서울기술사학원
※이 사이트의 저작물들은 저작권번에 의해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허락없는 무단 전재, 복재, 수정은 법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