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글번호 |
 |
|
2532 |
작성자 |
 |
|
관리자 |
등록일 |
 |
|
2025-03-17 |
조회수 |
 |
|
807 |
다운수 |
 |
|
0 |
|
|
제목 |
|
 |
|
정용환 - 135회 |
|
|
첨부파일 |
|
 |
|
|
|
|
|
|
|
|
|
|
|
|
새 페이지 1
<제135회
상하수도기술사 필기시험 합격수기>
□
총 괄
구분 |
129회 |
130회 |
132회 |
133회 |
134회 |
135회 |
시험일 |
‘23.02.04 |
‘23.05.20 |
‘24.01.27 |
‘24.05.18 |
‘24.07.27 |
‘25.02.08 |
합격/불합격 |
불합격 |
불합격 |
불합격 |
불합격 |
불합격 |
합 격 |
평균(총점) |
52.42(629점) |
50.58(607점) |
52.00(624점) |
56.75(681점) |
56.83(682점) |
62.50(750점) |
접수 |
227 |
267 |
249 |
328 |
276 |
267 |
응시 |
169 |
193 |
194 |
244 |
214 |
204 |
합격 |
12 |
6 |
14 |
15 |
5 |
13 |
합격율 |
7.10% |
3.11% |
7.22% |
6.15% |
2.34% |
6.37% |
1. 성 명
: 정용환(1969년生)
2. 합격점수
: 평균
62.50점(총점
750점,
193/188/177/192)
3. 공부기간
: ‘22년
10월
~ 현재(2년
6개월)
4. 시험이력
: 6회
5. 합격수기
1) 공부를 왜 시작하게 되었는지?
21년 초 부장 보직을 받으면서 대구로 지방근무를 하게
되었음.
내려가 보니 저녁시간 공부나 운동을 시작하는 게 주위의
이야기가 있었으나 업무로 바쁘다 보니 시작하지 못하였음.
그러던 중
22년 하반기 남들과 차별화되고 경쟁력이 있는 무언가가
필요했고 그동안 미루어 두었던 기술사 공부를 시작하게 되었음. |
2) 공부를 어떻게 하였는지?
①
공부시간
: 평일(2~3시간),
주말(토
: 6∼8시간,
일
: 학원수강,
2∼3시간)
- 평일
: 답안클리닉 작성,
답안작성 자료검색,
학원 진도에 맞춰 공부
- 주말
: 주간 공부내용 정리,
암기,
학원수강,
학원진도내용 예습,
복습
②
공부방법
- 학원교재인 강의노트를 기본으로 상수도 시설기준,
하수도 시설기준,
참고도서 및 자료,
인터넷 검색(네이버,
유튜브)을
활용하였음
- 하수도 업무를
주로 하다 보니 정수처리 등 상수도 업무는 생소해서 이해가 되지 않았으나
언젠가는 되겠지 라는 긍정적인 생각으로 반복하였음 |
- 학원강의는 실강을 들으려고 노력하였음.
몸이 아파
1번 빠진 것을 제외하고는 강의실 왼쪽 앞쪽 자리에서
수강하였음
- 답안클리닉을 약
2년 하면서 답안제출을
1등으로 하려고 하였음.
25년은 스터디를 병행하였음.
- 포커스캠프는 서울기술사학원에서 개설시 참가하였고
25년은 스터디에서 하는 모의시험에 참가하였음 |
3) 체력관리,
멘탈관리의 중요성?
기술사 공부는
6개월에서
2, 3년이 걸리는 마라톤과 같은 긴 레이스임.
체력/멘탈관리를
하지 않으면 컨디션 난조로 시험을 망치는 경우가 생김.
나에게 맞는 체력관리/멘탈관리
방법을 찾아서 공부와 병행하여야 함 |
4) 최적의 수험전략은?
①
자기에게 맞는 공부방법으로
50점 후반대에 도달하여 합격기회를 노린다.
- “계속 공부하면 합격한다는 확신을 가진다.”
- 시험을 목표로 한 이후
50점 후반대 점수에 최대한 빨리 도달.
50점 후반대 점수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공부방법,
답안지 작성방법 등에 문제가 없는 지를 되돌아 보고
공부방법을 수정.
50점 후반대 도달해서는 자기의 장단점을 파악하여 고득점
전략을 수립.
고득점 전략을 좁고 깊게 갈지,
넓고 얇게 갈지를 정해야 하는데 자기점수에 대한 객관화,
실력에 대한 냉정한 평가를 해야 하며 학원,
스터디,
모의시험 등 여러 방법으로 평가를 받아 자기 수준을 정확히
알아야 함
②
단답형/서술형
고득점 전략
- 문제선택
: 단답형,
서술형 모두 빈출문제는 고득점이 어려워 회피하는 것이
전략이며,
부득이 작성하여야 하는 경우 차별화 전략 필요
- 단답형
: “정의
+ Keyword + 차별화된 나의 의견”.
단답형은 정의만 정확하게 써도
50점 득점은 가능하며 현장감이 있는 차별화된 의견을 쓰게
되면
60점 이상 고득점이 가능할 것으로 보임
- 서술형
: “정의
+ 대제목 잡기
+ 기술사적 관점에서 나의 의견이 반영된 차별화된 내용”.
서술형은 문제에서 물어보는 내용을
0.7페이지 이상 쓸 수 있어야 하여,
나의 답안을 어떤 항목에서 타 수험자와 차별화 할 지를
고민하다 보면 답이 나올 것으로 보임 |
5) 느낀 점
면접이 남아 있기는 하지만 큰 산을 넘은 것 같아 홀가분한 기분임.
기술사 필기시험 합격으로 최근에 느껴보지 못한 성취감을 느낄
수 있어서 기분이 짜릿하고 좋았음.
면접 준비도 잘 해서 좋은 결과가 생기도록 하겠음 |
6) 감사의 글
주말에 도서관이나 스카에서 공부하고 있으면 열심히 도시락 배달을 해주면서
공부 뒷바라지를 해준 나의 마나님과 사위의 합격소식에 본인보다 기뻐해 주신 장모님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공부초기 매주 줌으로 본인만의 노하우를 알려줘 자칭 또는 타칭 합격지분이
10%는 있다고 이야기하고 있는 회사내 장래혁 과장님.
과장님 덕분에 공부초기 방향설정에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마지막으로,
매주 강의실에서 매일 답클에서 합격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해
주시고 방향을 정립해 주신 서울기술사학원 김영노 교수님께 머리숙여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교수님 감사합니다. |
|
|
|
|
|
|
|
|
|
|
|
|
|
|